인스타그램 계정 권리 주장 방법 2019년부터 친하게 지내던 A(대학 후배)의 제안으로, 2025년 3월 24일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 계정 권리 주장 방법 2019년부터 친하게 지내던 A(대학 후배)의 제안으로, 2025년 3월 24일 인스타그램

2019년부터 친하게 지내던 A(대학 후배)의 제안으로, 2025년 3월 24일 인스타그램 크리에이티브 계정을 공동 운영하기 시작하였습니다. A가 계정의 컨셉을 제안하였고, 저는 A가 제안한 계정의 수익 창출 가능성을 높이 판단하여 함께 운영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당일 계정은 A 명의로 함께 개설하였으며, 계정을 통한 수익 창출 방안(브랜드를 활용한 티셔츠, 폰케이스 판매 및 광고 게재 등)에 대해 간단히 논의한 바 있습니다.2025년 4월 1일부터 계정의 성장세가 급격히 상승하여 4월 7일에는 팔로워가 1만 명에 도달하였습니다. 그동안 대부분의 영상 및 게시물은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제작하였고, 본인은 36개 중 12개를 제작하고, 소스 및 아이디어 제공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계정 성장세가 가속화되자, A는 인스타그램 DM을 통한 연락에 대해 답변을 자제해달라는 경고를 전달하고, 납득하기 어려운 이유로 게시물 업로드를 반대하는 등 작은 갈등들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4월 7일 제가 이의를 제기하였으나, 그날 밤 A는 카카오톡 메시지로 “계정은 컨셉을 제안한 본인 소유이며, 저는 어떠한 권리도 주장할 수 없고, 계정 운영은 본인이 하겠다. 지금까지 형이 제작한 게시물 및 영상에 대해서는 이후 수익을 지급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내용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제 계정 접근 권한을 제 휴대폰과 노트북에서 일방적으로 차단하였습니다.계약서를 비롯하여 A가 일방적으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 전까지, 계정 소유권 및 그에 따른 권리와 책임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 바는 없었습니다. 이에 저는 제 인스타그램 계정에 대한 일정 지분, 수익 또는 제가 제작한 게시물에 대한 정당한 보상 등 주장 가능한 권리를 법적으로 최대한 주장하고자 합니다.카카오톡 대화 기록에 동업을 시작한 당일, 계정의 비밀번호를 저에게 공유하고 계정 관련 작업 및 의견 교환 등 계정 운영을 함께한 기록이 남아 있음을 덧붙입니다.관련태그: 기타 재산범죄, 고소/소송절차
← 목록으로 돌아가기